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GA4
- Search Console
- 구글
- 힘들다
- GA자격증
- utm
- 트래픽
- ga 데이터 샘플링
- ga 태그
- ga 계정
- 기여분석
- 구글태그매니저
- 기여모델
- Google Analytics
- GA 목표
- GoogleAnalytics
- looker
- gtm
- 다시
- GA4 전환 기여
- 유입경로
- GAIQ
- 맞춤측정기준
- BigQuery
- UA
- 매개변수
- 구글애널리틱스
- 수동태그
- GA
- Today
- Total
목록구글애널리틱스 (7)
logyoung

GA4는 이벤트 기준으로 데이터를 추적한다. 여기서 말하는 이벤트는 사용자의 참여, 즉 행동 그 자체를 말하며 이는 웹과 앱 이동 간에도 데이터를 끊기지 않게 추적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기준이 된다. GA4는 이 이벤트에서 추가로 매개변수를 적용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고-must do가 아니다- 안내하고 있다. 기존 UA 버전에서 맞춤측정기준/항목을 써본 경험이 없다면, 혹은 GA4에서 말하는 이벤트 데이터가 무엇인지 감이 안 온다면 이 '매개변수를 설정한다'는 것이 조금 헷갈릴 수도 있다. 그래서 아주 간단하게 정리해보는 오늘의 이야기. GA4 이벤트는..매개변수는요.. GA4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한다. 이때 이벤트 데이터란 사용자가 페이지를 첫 방문한 사실(first visit), 페이지를 보는..
#1. 구글 태그 관리자 구글 태그 관리자(GTM)는 GA를 사용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유용한 솔루션 도구이다. GA에서는 태그를 직접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했다면, GTM은 코드를 수정하지 않아도 사이트 내에 태그를 추가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. https://tagmanager.google.com
#1. 사용자 트래픽 저번 게시글에서 알아본 구글 애널리틱스 용어 중에서 '소스/매체' 내용을 기억한다면, 오늘 소개할 내용도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다. 사이트 데이터를 모아보면서 가장 첫번째로 궁금한 사항은 아무래도 '누가, 어디서, 어떻게 내 사이트로 들어왔을까'일 것이다.이를 가장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곳이 '획득' 탭의 '전체 트래픽'이다. 트래픽이 유입된 위치를 알 수 있는 곳으로, 만약 비즈니스 용도로 해당 내용을 살펴본다면, 어디서 광고 유입이 많은지 확인 가능하다. 위의 내용을 살펴보자. 본인의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에서 획득 > 전체 트래픽 > 채널로 들어가 보면, 위와 같은 그래프와 표를 볼 수 있다. 표의 가장 왼편에 위치한 Default Channel Grouping은 트래픽 소스..
#1. GA 구성 GA에서 데이터를 보기 위해 먼저 GA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자. GA는 크게 4가지 파트로 나뉜다. 메인 홈, 맞춤설정, 보고서, 관리 이 네가지 안에 우리가 사용할 내용이 다 담겨져 있다. 네가지 중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부분은 '관리'이다. 계정단에서부터 보기단까지 GA를 만들어내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 이뤄지는 곳이기 때문에 해당 섹션에 들어가 어떤 내용이 담겨져 있는지 쭉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. 사실 자신의 GA 계정에 들어가게 되면 가장 먼저 보게 될 화면은 '홈'이다. (추적코드를 심는 내용은 이미 진행했으므로) 홈 화면에서는 현재까지 내 사이트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요약해서 보여주고 있을 것이다. 사용자, 세션 수나, 이탈률, 세션 시간 등과 같은 내용들을 축약..